행복하조(1조) 중간발표 : 인클루언서 입문서 : 우리들의 소비가 만드는 포용적 사회
김민정2021-06-09 16:58
인클루언서, 윤리적 소비의 5가지 개념 등을 통해 이제 막 자리 잡아가는 사회 현상을 파악하려는 노력이 돋보였습니다.
프로젝트의 목표를 다양한 시도(지도, 키트, 매거진 등)를 통해 이뤄보고자 하는 것도 인상 깊었고요.
제가 의견을 드린다면,
1) 여러분의 프로젝트의 대상에는 A. 윤리적 소비를 전혀 모르는 사람, B. 윤리적 소비를 때때로 즐기는 사람(기회가 되면 구매), C. 윤리적 소비를 최대한 하려고 하는 사람(특별히 노력을 하지는 않음), D. 너무나 윤리적 소비를 하고 싶어 노력하는 사람 등이 속할 것 같은데, 주로 D에 초점이 맞춰진 것 같아요. D가 얼마나 많은지는 모르겠지만 A~C를 고려하는 것도 좋지 않을까 싶어요.
2) 1에서 프로젝트의 대상이 좁혀졌다면, 혹은 구체화되었다면 프로젝트가 시도하려는 여러 가지 방법도 재검토가 필요할 것 같아요. 각각의 작은 프로젝트(지도, 키트, 매거진)이 누구에게 어떤 효과를 가져올지 생각해 보고 어떤 것에 더 집중할지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ps. 윤리적 소비가 포스트팬데믹 시대의 정말 주요한 흐름이 될까요?
(저는 약간 회의적이라서요. 소비는 기본적으로 소득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죠. 오히려 여러분이 주도해야 할 것 같아요 :)
프로젝트의 목표를 다양한 시도(지도, 키트, 매거진 등)를 통해 이뤄보고자 하는 것도 인상 깊었고요.
제가 의견을 드린다면,
1) 여러분의 프로젝트의 대상에는 A. 윤리적 소비를 전혀 모르는 사람, B. 윤리적 소비를 때때로 즐기는 사람(기회가 되면 구매), C. 윤리적 소비를 최대한 하려고 하는 사람(특별히 노력을 하지는 않음), D. 너무나 윤리적 소비를 하고 싶어 노력하는 사람 등이 속할 것 같은데, 주로 D에 초점이 맞춰진 것 같아요. D가 얼마나 많은지는 모르겠지만 A~C를 고려하는 것도 좋지 않을까 싶어요.
2) 1에서 프로젝트의 대상이 좁혀졌다면, 혹은 구체화되었다면 프로젝트가 시도하려는 여러 가지 방법도 재검토가 필요할 것 같아요. 각각의 작은 프로젝트(지도, 키트, 매거진)이 누구에게 어떤 효과를 가져올지 생각해 보고 어떤 것에 더 집중할지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ps. 윤리적 소비가 포스트팬데믹 시대의 정말 주요한 흐름이 될까요?
(저는 약간 회의적이라서요. 소비는 기본적으로 소득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죠. 오히려 여러분이 주도해야 할 것 같아요 :)
<발표 질문 내용>
1) 텀블벅 달성 못하면?
: 텀블벅 달성에는 기간과 최소금액 문제가 있음. 가능한 넓은 기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홍보 팸플릿을 빠르게 제작할 것. 최소금액은 낮게 설정하되, 그 이상 많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마케팅 및 홍보에 성의껏 임할 예정.
: 특히, 인클루시브 소비 지도는 온라인에 다양한 매체 등을 통해 무료로 배포할 예정. 매거진 파일 자체는 그러기 힘들듯. 아무래도 후원을 받고 제공하는 리워드이다 보니, 무료배포가 어려울 것 같다.
2) 키즈존 무슨 관련?
: 사회적-윤리적 소비에 대한 다양한 변이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노키즈존-예스키즈존 같은 경우도, 예스키존이 사회적 소비인지 아닌지 다를 수도. 그 점 잘 유의해서, 충분히 포용적 소비로 동의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하겠다.
3) 텀블벅 구매 유인책? - 어떻게 관심있는 사람들이 이를 구매하도록 할 것인가
: 의미있는 굿즈 , 체험형 키트를 MD로 구성하도록 고민할 예정. 직접 물품을 사용 및 체험하며 좋은 제품을 선별하고, 그 활용도에 있어 활용도 낮거나 인기 낮은 물건이 들어가지 않도록 다양한 선례를 참고할 것.
: 굿즈로는 텀블러, 스티커 등. 다양한 캐릭터 제작까지 가능하기를 소망한다.
4) 주 타겟층?
: MZ세대. 특히 포용적 소비에 관심은 있으나 막상 실천하기 힘들다고 생각하는 이들. 열심히 홍보하겠다.
그 외 다양한 코멘트, 발전 방향, 예상되는 한계 등이 있다면 편하게 소통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