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석6조(6조)/ 포스트휴머니즘과 인간중심적 사유로부터의 탈피, 이를 나타낼 수 있는 게임의 개발 /중간발표 발제문, 발표자료, 피드백정리
6조 중간발표, 발제문, 발표자료, 피드백 정리본입니다!
김민정2021-06-10 22:01
일석육조의 흥미로운 프로젝트 기획 잘 보았습니다.
여러 좋은 피드백들이 나왔고 그에 대해 응답도 잘 해주신 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도움이 될 수도 있는 의견을 덧붙이자면 다음 두 가지입니다.
1) 재미를 위한 게임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교육을 위한 게임을 만드는 것이라면 교육의 대상이 보다 분명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누가 게임을 하느냐(어린이, 청소년, 성인, 성인 중에서도 인공 지능에 익숙하지 않은 대중, 익숙한 개발자 등)에 따라 전달하려는 메시지는 같아도 목표 달성을 위한 방법은 다를 수 있을 것 같아요.
2) 한편, 이것이 '교육'이라면 여러분이 전달하려는 메시지에 대한 다각면의 분석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게임을 통해서 인공지능을 함부로 하지 말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한다고 할 때, 함부로 한다는 것의 선은 어디까지이며 무엇이 인공지능인가에 대해 물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일단 인공지능이라는 개념이 이미 매우 넓고 애매모호하며 앞으로 점점 더 그러할 것이므로 인공 지능 개념은 과학, 기술 영역에서 검토되고,
전자의 윤리적 문제는 철학적 문제일 것 같네요.
ps. 달라지는 세상만큼 교육도 달라졌으면 좋겠군요. 일석육조의 게임처럼!
여러 좋은 피드백들이 나왔고 그에 대해 응답도 잘 해주신 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도움이 될 수도 있는 의견을 덧붙이자면 다음 두 가지입니다.
1) 재미를 위한 게임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교육을 위한 게임을 만드는 것이라면 교육의 대상이 보다 분명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누가 게임을 하느냐(어린이, 청소년, 성인, 성인 중에서도 인공 지능에 익숙하지 않은 대중, 익숙한 개발자 등)에 따라 전달하려는 메시지는 같아도 목표 달성을 위한 방법은 다를 수 있을 것 같아요.
2) 한편, 이것이 '교육'이라면 여러분이 전달하려는 메시지에 대한 다각면의 분석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게임을 통해서 인공지능을 함부로 하지 말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한다고 할 때, 함부로 한다는 것의 선은 어디까지이며 무엇이 인공지능인가에 대해 물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일단 인공지능이라는 개념이 이미 매우 넓고 애매모호하며 앞으로 점점 더 그러할 것이므로 인공 지능 개념은 과학, 기술 영역에서 검토되고,
전자의 윤리적 문제는 철학적 문제일 것 같네요.
ps. 달라지는 세상만큼 교육도 달라졌으면 좋겠군요. 일석육조의 게임처럼!